최종편집 2024-04-28 21:09 (일)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mRNA 연구,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이어 암 극복이란 영역으로
상태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mRNA 연구,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이어 암 극복이란 영역으로
  • 경기메디뉴스 김선호 기자
  • 승인 2023.10.04 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전령 RNA(messenger RNA, mRNA) 기술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뿐 아니라 암 극복이란 영역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난 2일(현지 시간)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가능하게 한 커털린 커리코 헝가리 세게드대학 교수와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의대  교수를 선정했다.

배성만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들 연구팀의 연구가 화이자社나 모더나社의 mRNA 기반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분석된다"라고 말했다.

전령RNA는 DNA로부터 전사(transcription)과정을 거쳐 생산되어, 세포질 안의 리보솜에 유전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단백질이 생산된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필요한 단백질의 유전정보로 코딩된 mRNA가 인체의 세포 내로 들어가면 원하는 단백질이 생성될 수 있다. 

배 교수는 "문제는 mRNA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인 동시에, 의도치 않게 강한 선천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임상적 응용에 제약이 있었는데, 이들 연구팀은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를 이용해서 mRNA를 합성하여 선천면역반응을 회피하고, 안정성이 증가하는 기술을 처음으로 고안해냈다"라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mRNA백신이 신속하게 개발된 것은 이러한 mRNA 변형 기술의 응용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mRNA 기술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뿐 아니라 암 극복이란 새로운 영역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mRNA 백신으로 코로나19 돌파구를 열었던 모더나는 미국 머크와 함께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mRNA 기반 새 치료제를 임상시험 중에 있으며, 암재발 위험을 44%나 낮췄다고 보고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흑색종에 효능이 좋은 키트루다에 비하여 추가로 효능을 더했기에 더욱 주목 받았다. 현재 임상 3상을 하고 있다. 최근 바이오앤텍은 로슈와 손잡고 난치암의 대표격인 췌장암 백신 연구를 진행하였고 16명의 환자 중 T세포면역반응이 일어난 환자에서 일어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재발이 훨씬 적음을 발표했다.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이 교수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mRNA를 활용한 암백신 개발에 뛰어들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과정이 성공하면 암 치료의 패러다임도 바뀔 것이다. 코로나19 때 경험처럼, 백신은 몸의 면역체계를 작동시키는데, 암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으면 재발을 막을 뿐 아니라 나아가 암을 예방하는 단계에도 이를 수 있다. 무엇보다 mRNA 암백신은 개발이 빠른 장점으로 맞춤형으로 백신을 개발하는 데 적합하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다.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는 KAIST 최정균 교수와 함께  올해 네이처 제네틱스에 항암백신 개발의 난제로 꼽히는 면역 반응성이 있는 신생항원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항암 반응성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기술은 면역세포인 T세포가 암세포를 알아보고 공격하도록 제역할을 할 수 있는 항원을 골라낼 수 있도록 했다.  mRNA백신이 암세포를 향해 정확한 타겟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길을 닦은 셈이다. 앞으로 암백신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연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