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4 08:40 (수)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와 차이 없거나 우월
상태바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와 차이 없거나 우월
  • 경기메디뉴스 김선호 기자
  • 승인 2021.03.23 14: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망률, 재시술률 등 효과나 안전 면에서
서울대병원, 지속형 대 분해형 폴리머 약물 스텐트 비교 임상연구
©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팀(박경우·강지훈 교수)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약물 스텐트 임상연구 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가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 및 효과에 차이가 없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심장분야 국제 권위지인 ‘서큘레이션(Circulation, IF;23)’ 최근호에 게재됐다. 

급성관동맥증후군은 심장근육에 혈류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으로 좁아진 상황에서 급성으로 혈전이나 혈류장애가 악화되어 발생한다. 급성심근경색, 급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중한 병이다.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는 스텐트를 삽입해 협착 부위를 넓히는 시술이 일반적인 치료다. 과거에는 스텐트 시술 이후 재협착이 큰 문제였다. 최근에는 이를 막기 위해 약물을 표면에 입힌 스텐트가 주로 사용된다. 

2011년 유럽에서 인증받은 이후 국내에도 도입됐던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는, 시간이 지남에 약물은 흡수가 되고 폴리머는 남는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와 달리, 약물과 더불어 폴리머도 서서히 녹아 체내에 완전히 흡수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했던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에 비해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여겼었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40개 센터에서 6년 동안 스텐트 시술을 받은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 3,413명(지속형-폴리머; 1,713명, 분해형-폴리머; 1,700명)이다. 연구팀은 환자마다 ▲1차평가 사건(모든 원인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모든 혈관 재개통술)과 ▲2차평가 사건(심장 사망, 목표혈관 심근경색,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지속형-폴리머 약물 스텐트 그룹은 1차평가 사건 발생률이 5.2%로 분해형-폴리머 약물 스텐트의 6.4%와 큰 차이가 없었다. 2차평가 사건 발생률에서는 2.6% 대 3.9%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목표병변 혈관재개통술의 감소가 주원인이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관상동맥 스텐트의 약물방출 폴리머 기술을 비교 분석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연구”라며 “환자에게 적합한 스텐트 선택의 지침을 제시하여 진료현장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