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9 14:39 (금)
혈전·출혈 두 마리 토끼 잡는 항혈소판제 복용법 나왔다
상태바
혈전·출혈 두 마리 토끼 잡는 항혈소판제 복용법 나왔다
  • 경기메디뉴스 한진희 기자
  • 승인 2020.09.03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병원 연구팀, 고위험군 관동맥 환자 위한 프라수그렐 최적 용량 세계 최초 규명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 김효수·박경우·강지훈 교수. ⓒ 서울대병원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 김효수·박경우·강지훈 교수. ⓒ 서울대병원

국내 연구진이 혈전 재발과 출혈을 동시에 낮추는 이상적인 항혈소판제 프라수그렐 복용법을 세계 최초로 정립했다. 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 김효수·박경우·강지훈 교수팀은 관동맥-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세계 최고 권위지인 란셋(Lancet IF; 60.39) 온라인판 8월 31일 자에 게재했다.

관동맥 죽상경화 병변에 혈전이 붙어 관동맥이 막히면, 심근으로의 혈류가 차단돼 급성심근경색증과 불안정형협심증이 발생한다. 치사율이 높아서 관동맥조영술로 원인을 확인해야 하는 고위험질환이다. 관동맥-스텐트를 삽입해 응급처치를 하지만 금속 스텐트에 혈전이 붙으면 관동맥이 다시 막힌다. 이때는 항혈소판제를 투여해 혈전 형성 재발을 예방해야 하는데, 항혈소판제는 출혈 부작용이 생긴다. 즉, 항혈소판제가 약하면 혈전이 재발해 관동맥이 막히고, 강하면 출혈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환자별로 항혈소판제의 용량을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 3400여 명을 스크린해 2400명을 저용량군(DE-ESCALATION) 대 정상용량군(CONVENTIONAL GROUP)으로 무작위 배정해 1개월 시점부터 약용량을 달리해서 1년까지의 경과를 분석했다. 프라수그렐을 복용하기 어려운 고령·저체중 환자들은 OBSERVATION군으로 분류해 다른 항혈소판제를 투여하면서 병행해 경과를 관찰했다. ⓒ 서울대병원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 3400여 명을 스크린해 2400명을 저용량군(DE-ESCALATION) 대 정상용량군(CONVENTIONAL GROUP)으로 무작위 배정해 1개월 시점부터 약용량을 달리해서 1년까지의 경과를 분석했다. 프라수그렐을 복용하기 어려운 고령·저체중 환자들은 OBSERVATION군으로 분류해 다른 항혈소판제를 투여하면서 병행해 경과를 관찰했다. ⓒ 서울대병원

‘HOST-REDUCE-POLYTECH-ACS RCT’라고 명명된 연구에는 6년간 전국 35개 병원에서 약 3400명의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가 참여했다. 연구팀은 항혈소판제인 프라수그렐 투약이 적절한 약 24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했다. 한 달 동안 프라수그렐 정규용량을 복용시키고, 이후에는 저용량(5mg)과 정규용량(10mg)으로 나눠 12개월 동안 관찰했다.

1년 동안 발생한 NACE가 저용량군에서는 7.2%였고, 정규용량군에서는 10.1%에 달했다. 즉, 저용량 요법이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다. 실제 수치상으로도 저용량군에서 사건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대병원
1년 동안 발생한 NACE가 저용량군에서는 7.2%였고, 정규용량군에서는 10.1%에 달했다. 즉, 저용량 요법이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다. 실제 수치상으로도 저용량군에서 사건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대병원

그 결과, 일차목표점인 NACE(Net Adverse Clinical Event; 허혈성/출혈성 사건 발생지표)의 발생 건수는 저용량군이 7%, 정규용량군이 10%였다. 저용량군에서 유의하게 일차목표점 발생을 줄였다. BARC-정의상, 2급 이상의 출혈 건수는 각각 3%와 6%로 저용량군이 적었다. 혈전 형성 건수는 저용량군과 정규용량군이 비슷했다.

항혈소판제인 프라수그렐을 투여하지 못하는 OBSERVATION군의 경과가 가장 나빴다. 반면, 프라수그렐 저용량군의 경과가 가장 양호했다. 3400여 명의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예후인자를 분석한 결과 만성신부전, 고령, 저체중이 유의한 위험인자로 드러났다. ⓒ 서울대병원
항혈소판제인 프라수그렐을 투여하지 못하는 OBSERVATION군의 경과가 가장 나빴다. 반면, 프라수그렐 저용량군의 경과가 가장 양호했다. 3400여 명의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예후인자를 분석한 결과 만성신부전, 고령, 저체중이 유의한 위험인자로 드러났다. ⓒ 서울대병원

결론적으로 프라수그렐 저용량 요법이 현재 알려진 정규용량보다 혈전 형성 건수는 증가시키지 않고 출혈 경향을 50% 경감시키면서 환자의 예후를 호전시켰다. 프라수그렐을 복용하기 어려운 고령, 저체중 환자 약 1000명은 프라수그렐 2군에 비해서 의미있게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는 혈전 형성 경향이 높아 항혈소판제를 강하게 사용해 왔다”며 “이 때문에 출혈이 빈발해 항혈소판제를 어떻게 조절해야 할지 그동안 진료 현장은 혼란의 상태에 있었다”고 전했다.

연구를 총괄한 김효수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검증한 최적의 항혈소판제 요법 발표는 전 세계 의사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우리나라의 진료지침 개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기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